소화기계 질병 5 (바이러스성 간염, 만성간염, 전격감염)
사람에게 있어서 간염의 원인이 되는 간염 바이러스는 7가지로 A, B, C, D, B, F, G형 바이러스가 있는데,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A~표 형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간염과 만성간염은 1994년 누야마의 분류가 주로 사용되는데, '만성간염이란 6개월 이상 간 기능 이상과 바이러스 감염이 속된 병태'를 말한다. 즉 바이러스 간염에서 6개월 이상 SGOT, SGPT 이상이 지속되면 만성 간염, 그 미만이면 급성간염이다. 특히 급성간염에서 급격히 간 기능이 상실되어 예후가 나빠지는 경우를 '전격간염 한다.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서 감염되어 간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임상증상이 원인 바이러스에 따라서 약간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비슷하다. 급성간염의 임상증상은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 후 일정한 잠복기간을 거쳐 식..
2024. 2. 15.
소화기계 질병 2(위염(gastritis), 헬리코박터 감염증,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감염 후 짧은 잠복기를 거쳐 위점막 표 재층 염증이 나타난 상태를 말한다. 원인으로는 주로 아스피린 남용,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NSAIDs)의 장기간 복용, 알코올, 과도한 흡연, 커피, 식중독과 스트레스 등이 있다. 특히 NSAIDS는 위점막을 직접 손상할 뿐만 아니라 혈액 속에 흡수되어 위점막을 보호하는 prostaglandin의 생합성을 억제한다. 염증 정도에 따라 조직학적 변화도 다양하다. 내시경에서 위점막에 이상 소견이 발견되며 경미한 경우 대부분 일과성으로 며칠 안에 치료된다. 임상적 증상은 급격한 명치부위 통증 또는 출혈이 있고 불쾌감, 구토, 오심, 식욕부진 등 병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원인을 제거하면 비교적 치료가 빠르다. 위점막의 만성 염증성 질환을 만성위염이라 한다. 다양..
2024.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