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계 질병 1(편도염, 위식도역류질환, 바렛식도, 식도정맥류, 식도암)
편도(tonsil)이란 목(인두) 주변에 있는 임파조직으로 구개편도(목구멍편도), 인두편도, 설편도 등이 있다. 입 안으로 유입되는 균에 대한 최초의 생체방어 기구이며, 감염증으로부터 최초로 몸을 지키는 곳이다. 편도염은 이 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아데노이드(adenoid)와 함께 소아기에 많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선천적으로 편도가 큰 사람도 있으나 감기나 과로 등 에 의해 생기며 쉽게 붓고, 비대해진다. 편도염은 심한 경우에는 양쪽 편도가 닿을 정도로 비대하여 음식물을 넘기기가 힘들고 삼킬 때 통증이 심하게 나타난다. 이외에 39~40°C의 고열이 나타나며 오한, 목 부위 건조감, 언어장애, 구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원인균은 연쇄상구균(연쇄상 구균), 포도상구균(포도상구균), ..
2024. 2. 5.
호흡기계 질환 3(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무기폐(atelectasis), 폐암(lung cancer))
정의 기관지 확장증은 1개 혹은 그 이상의 기관지가 심하게 확장된 상태를 말한다. 원인 감염, 기관지 폐쇄(종양, 림프샘 종대, 이물), 진폐증, 폐의 선천성 질환, 췌장의 섬유낭성 질환의 합병증 등이 원인으로 여겨진다. 병리적 기전 및 증상 자주 재발하는 염증으로 폐렴이나 기관지염(bronchitis)이 생기면 폐렴으로 인한 흉막 유착(pleural adhesion)과 섬유화(fibrosis)로 폐 확장이 감소하고 기관지염으로 점액성 삼출물(mucosa secretion)이 정체되며, 기관지 내강이 협착되면 기침, 객담, 호흡곤란, 청색증(cyanosis)이 나타난다. 정의 출생 당시 폐가 확장되지 않아 적절한 흡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주로 미숙아에게서 일어난다. 원인 호흡중추 부전, 표면의 계..
2024. 2. 5.
호흡기계 질환 1( 폐렴, 상기도 감염, 비염, 만성후두염, 급/만성 기관지염)
상기도 감염증은 상기도에 발생한 감염증으로 대부분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발생한다. 그중에 서도 리노바이러스(rhinovirus)가 가장 흔하게 감염증을 유발하는 병원균이다. 발열, 기침, 두통 등의 흔한 증세를 나타내며 원인을 제거하는 치료제는 존재하지 않아 주로 대증요법에 의해 증세가 완화되도록 한다. 주로 해열제나 진통제 등의 증상 경감을 위한 치료제를 투여한다. 정의 코 및 주위 조직에까지 염증이 생긴 상태로 일명 코감기라고 한다. 원인 Virus, 폐렴구균(폐렴 구균), 화농성 연쇄상구균(연쇄상 구균), influenza 등의 세균, allergen이 원인이다. 계절성 allergen은 나무나 풀의 꽃가루, 비계절성 allergen은 집 진드기, 동물, 사람의 털과 비듬, 솜, 섬유질의 먼지 등이 ..
2024.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