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도 감염 upper respiratony infection, URI>
상기도 감염증은 상기도에 발생한 감염증으로 대부분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발생한다. 그중에 서도 리노바이러스(rhinovirus)가 가장 흔하게 감염증을 유발하는 병원균이다. 발열, 기침, 두통 등의 흔한 증세를 나타내며 원인을 제거하는 치료제는 존재하지 않아 주로 대증요법에 의해 증세가 완화되도록 한다. 주로 해열제나 진통제 등의 증상 경감을 위한 치료제를 투여한다.
<비염 Rhinitis>
정의
코 및 주위 조직에까지 염증이 생긴 상태로 일명 코감기라고 한다.
원인
Virus, 폐렴구균(폐렴 구균), 화농성 연쇄상구균(연쇄상 구균), influenza 등의 세균, allergen이 원인이다. 계절성 allergen은 나무나 풀의 꽃가루, 비계절성 allergen은 집 진드기, 동물, 사람의 털과 비듬, 솜, 섬유질의 먼지 등이 속한다.
병리적 기전 및 증상
1) virus 감염 - 비강, 부비동(sinus), 비인두의 점막 염증 - 혈관 충혈, 조직 부종, 점막 부종 - 부비동 특히 상악동(위턱굴)의 액체 흐름 폐쇄- 코막힘, 선관 폐쇄 - 과도한 점액분비, 삼출액
- 심한 콧물 - 만성 비염 - 폴립 형성, adenoid 비대 - 비 폐쇄
2) 세균감염 - 코, 인두의 점막 염증 - 표면상피 소실, 다형 백혈구의 삼출물, 액성 삼출물, 점액 분비, 혈관울혈 - 점액 화농성 분비물 - 만성 비염
3) allergen 접촉 - 비 점막 하 조직의 심한 부종, 찐득거리는 점액분비, 점액선 종대, 기저막의 초 자질 부기, 호산구 침윤- 만성 알레르기 코염. 만약 세균이 침입한다면 점액 화농성 삼출물 분비
<만성후두염 Chronic Laryngitis>
정의
후두점막에 염증이 생겨 후두와 성대에 오랫동안 염증이 지속되는 상태이다.
원인
흡연, 대기오염, 상기도 염증, 드물지만 결핵과 매독이 만성 후두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병리적 기전 및 증상
두 가지 특징적인 변화, 즉 표면상피의 변화와 점액분비의 증가세를 보인다.
<급만성 기관지염 Acute & Chronic bronchitis>
정의
기관지 점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원인
Virus, Mycoplasma, Hemophilus influenza, 포도상구균(포도상구균), 화성 연쇄상구균, 폐렴구균, 홍역의 합병증, 먼지, 가스, 연기 등의 물리적 • 화학적 자극에 의해 발생한다.
병리적 기전 및 증상
건강한 성인이 세균에 감염되면 기관지 상피의 효과적인 섬모운동에 의해 제거되어 세기관지로 확산하지 않는다. 그러나 소아나 노약자에게서는 염증이 세기관지로 파급되어 세기관지염과 기관 지성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생겨 치명적일 수 있다.
급 • 만성 기관지염 병리적 기전 및 증상
• 흡연 - 상피화생 - 섬모상피 소실 - 섬모운동 결여- 삼출물 정체 - 만성 기관지염
• 대기오염(예: 배기가스, 이산화유황)- 기관지 자극 기관지 점액성 삼출물 다량 분비
- 섬모운동 결여로 인한 삼출물 정체 - 만성기관지염
<폐렴 Pneumonia>
폐렴은 호흡세기관지, 허파꽈리 관, 허파꽈리인 및 허파꽈리의 미생물 감염에 의한 염증반응을 총칭한다. 원인 미생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하다. 폐렴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병리 해부학적으로 세기관지와 그 말초의 허파꽈리에서 염증이 생긴 기관지폐관지폐량(bronchopneumonia), 한 개의 lobe 전체로 확산하는 엽성 폐렴(lobar pneumonia) 및 허파꽈리 사이 막
등 간질에 주로 발생하는 간질성패럼으로 나뉜다. 폐렴은 매우 미약한 증상에서 심각한 증세에 이르기까지 경과가 다양하다. 호흡기의 방어기전을 약화하는 요인인 흡연, 전신마취, 관 삽관 등은 폐렴의 유발요인이 된다.
- 기관지폐렴 bronchopneumonia
기관지 폐렴은 폐의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소엽 폐렴이라고도 불린다. 기관지폐렴은 대부분 상부 호흡 기도에 다양한 원인균(세균, 바이러스 등)이 감염을 일으킨 후 세기관지로 감염이 전파된다. 폐 하부에 세균감염으로 세기관지염이 발생하면 다량의 삼출물이 분비되어 세기관지 내강이 협착하여 삼출물이 정체된다. 그 결과 가스교환 장애가 발생하고 세균 증식으로 인한 세균 확산으로 폐렴이 확산한다. 병원미생물의 종류나 환자의 면역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경과를 나타낸다. 특히 고령자, 영유아, 만성 쇠약 질환의 마지막 단계, 면역기능 상실 상태에서는 치사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 엽성폐렴 lobar pneumonia
엽성폐렴은 1개 이상의 lobe에 염증이 피 진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 폐렴 구균 (Streptococcus pneumonia)가 주요 감염 원인균으로, 40°C 전후의 고열과 오한(추위)을 나타내는 급성 감염증이다. 고령의 노약자, 당뇨병 환자. 알코올 중독자에게 흔히 발생한다. 병리 소견으로 lobe의 모든 허파꽈리가 영향을 받으며 허파꽈리 간질 막 모세혈관의 울혈, 허파꽈리 내 중성구의 침윤, 섬유소 침착이 한 개의 lobe 전체로 확산한다.
- 간질성폐렴 intestitial pneumnia
간질성 폐렴은 허파꽈리 간질에 국한되어 염증세포가 침윤하고 섬유화로 진행되므로 흔히 폐섬유증(pulmonary fibrosis)이라고도 한다. 폐기능검사에서 폐 환기 감소와 확산 능력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제한 폐질환(restrictive lung disease)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폐렴의 원인으로는 유독가스 흡입, 약물, 방사선, 아교질병 등이 있지만 원인불명인 경우가 더 많다. 주로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나타나고 마른기침이 특징이며, 허파꽈리-모세혈관 차단(aveolar-capillary block)이 초래되면 심한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다.
'간호학 > 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기계 질환 3(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무기폐(atelectasis), 폐암(lung cancer)) (1) | 2024.02.05 |
---|---|
호흡기계 질환 2(폐결핵, 천식, 폐기종, 만성 폐쇄성 폐질환) (1) | 2024.02.05 |
심혈관계 질병 4(고혈압(Hypertension), 빈혈(Anemia), 백혈병(leukemia)) (1) | 2024.02.01 |
심혈관계 질병 3(죽상경화증, 동맥경화증, 동맥류, 정맥류) (0) | 2024.02.01 |
심혈관계 질병 2-허혈성 심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류마티스성 심질환, 판막성 심질환 (0)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