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Hypertension>
고혈압은 같은 조건에서 2회 이상 측정한 결과 혈압이 140/90mmlHg 이상인 상태를 말한다.
정상 혈압은 18세 이상에서 수축기 혈압이 100~120mmHig, 확장기 혈압이 60~90mmHg이다. 수축기 혈압은 심장 운동, 동맥의 탄력성 및 팽창성에 의해 결정되고, 확장기 혈압은 세동맥을 흐르는 혈류 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고혈압의 구분
구분 | 수축기 혈압 | 이완기혈압 |
정상 | < 120 | <80 |
전고혈압(Prehypertension) | 120~139 | 80~89 |
1기 고혈압(stage 1 Hypertension) | 140~159 | 90~99 |
2기 고혈압(stage 2 Hypertension) | >160 | >100 |
-일차성 고혈압, 본태성 고혈압(primary hypertension, essential hypertension)
정의
고혈압의 발생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고혈압으로 99% 이상의 대부분 환자가 일차성 고혈압이다.
유발요인
유전, 고염분 식이, 교감신경 자금, 비만, 운동 부족, 심박출량 증가, 말초저항 증가, 흡연, 당뇨병, 고지혈증, 고연령(30세 이상), 스트레스, 정신적 흥분 등이 있다.
합병증
고혈압이 긴 시간 동안 지속되면 합병증이 발생한다. 합병증으로는 혈관과 장기에 대한 영향이 중요하다.
혈관에 대한 합병증으로는 관상동맥질환 동맥류, 혈관 파열, 뇌혈관 파열로 인한 뇌경색 등이 있다.
장기에 대한 합병증으로는 심장, 뇌, 신장에 대한 영향이 크다. 심부전, 고혈압 뇌증, 신부전, 그 밖에 고혈압성 망막증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고혈압이 긴 시간 동안 지속되면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므로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하고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 함부로 약물을 과용 혹은 남용하지 말고 검사 후, 정확한 진단을 받은 후 의사와 상의하여 치료해야 한다.
-이차성 고혈압, 속발성 고혈압 Secondary hypertension
정의
체내의 다른 기관의 질환에 의해 고혈압이 발생하는 경우로, 전체 고혈압 환자의 약 0% 정도를 차지한다.
원인
신장질환, 부신피질의 기능항진, 부신수질종양, 과다한 약물복용(예: 경구피임약, 스테로이드 제제, 교감신경흥분제 등), 임신중독증, 혈관질환(예: 대동맥 협착증), 혈액의 점도 증가(예: 다 혈구 증가증) 등이 있다.
속발성 고혈압은 다른 기관의 질환에 의해 발생하므로 원인이 발견되면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고혈압 치료의 지름길이다.
구조와 기능
혈액은 혈구 세포와 혈장으로 구성되고 끊임없이 전신을 순환하면서 각 조직에 산소, 영양소, 호르몬 등을 공급하고, 조직의 대사 작용으로 생긴 이산화탄소와 그 밖의 노 폐물을 배설 장소로 운반해 준다. 병원미생물이 침입하면 백혈구와 항체를 운반해 그들과 대항하여 신체를 방어하고, 혈관 손상으로 출혈이 발생하면 혈소판과 응고인자를 통해 응고 작용을 한다. 체온조절, 체액의 전해질 균형도 유지한다.
성인의 혈구 세포는 편 평, 척추, 사지의 긴뼈 속 적 골수에서 형성되고 림프구는 림프 세망 계에서 형성된다. 혈구 생산은 영양소(비타민 Bi2, 엽산, 철분), eythropoietin, 건강한 골수, 그 밖의 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노화되거나 결함이 있는 적혈구는 비장에서 파괴한다.
<빈혈 anemia>
정의
적혈구 수가 적거나 헤모글로빈의 농도가 낮은 경우를 빈혈이라 하며, 적혈구 수가 400만/㎣ 이하이거나 혈액 100mL당 Hb의 함량이 12~16g/100mL가 정상인데 10~12g/100mL 이하인 경우를 빈혈이라 한다.
종류
• 철분결핍성빈혈: 철분의 부족으로 혈액 속 적혈구 수가 감소하고 적혈구는 대부분 작다. 편 식이나 영양결핍 등에 의한 철분 섭취의 부족으로 일어난다. 또 위궤양, 악성종양 등의 만성적인 출혈로도 발생한다.
• 거대 적혈구 빈혈 : 엽산이나 비타민 B12 결핍의 부족으로 인한 빈혈로 적혈구 수는 감소하지만, 그 형태는 커진다. 내인 인자의 부족으로 비타민 B12가 결핍되어 생기는 빈혈을 악성빈혈(pernicious anemia)이라고 한다.
• 재생불량성 빈혈 : 골수의 조혈 능력이 약해져 발생하는 빈혈로 말초 혈액 속 적혈구의 크기는 정상과 비슷하다. 대부분 적혈구뿐만 아니라 과립구나 혈소판 등 혈구 전반의 합성이 장해를 받아 범혈구 감소증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 용혈 빈혈 : 적혈구의 수명이 짧아 조기에 파괴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빈혈이다. 헤모글로빈의 분해 산물인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황달이 나타난다. 겸상 적혈구증(sickle cell anemia), 자가면역성 용혈 빈혈 등이 있다.
병리적 기전 및 증상
조직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하고 산소는 혈색소와 결합하여 각 조직에 운반되며 조직에서는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폐로 운반된다. 그러므로 만약 산소가 부족하면 호흡곤란, 피로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산소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심혈관계와 골수의 기능이 강화되고 생화학적 변화가 일어난다.
<백혈병 leukemia>
정의
백혈병은 미성숙한 백혈구가 셀 수 없을 정도로 과다 형성되는 상태로 골수 조혈세포의 악성종양이다.
원인 및 유발요인
정확한 원인은 잘 모른다. 유발요인으로 방사선, 화학물질(예: 벤젠)의 과다노출, 화학 약물의 과다복용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병리적 기전 및 증상
혈구 세포의 생성은 건강한 골수, 철분, 비타민 Bi와 같은 영양소, 적혈구 생성을 위한 정상적인 유전인자가 있을 때 가능하다. 만약 어떤 원인에 과다 노출되면 미성숙 백혈구가 과다 형성되지만, 백혈구는 성숙한 것이 아니므로 쉽게 파괴되고 세균과 같은 항원이 침입해도 이와 대항하여 신체를 방어하는 기능어 미약하다. 또한 과다 형성된 백혈구는 신체 각 장기에 축적되어 축적된 장기의 기능부전 및 종대가 나타난다.
'간호학 > 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기계 질환 2(폐결핵, 천식, 폐기종, 만성 폐쇄성 폐질환) (1) | 2024.02.05 |
---|---|
호흡기계 질환 1( 폐렴, 상기도 감염, 비염, 만성후두염, 급/만성 기관지염) (1) | 2024.02.01 |
심혈관계 질병 3(죽상경화증, 동맥경화증, 동맥류, 정맥류) (0) | 2024.02.01 |
심혈관계 질병 2-허혈성 심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류마티스성 심질환, 판막성 심질환 (0) | 2024.02.01 |
심혈관계 질병 1-심부전(Heart failure) (1)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