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berculosis2 호흡기계 질환 2(폐결핵, 천식, 폐기종, 만성 폐쇄성 폐질환) 결핵(tuberculosis)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감염에 의하여 발현하는 만성 육아종 소모성 질환으로 전신의 모든 장기에서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이 폐결핵이다. 1960년대까지는 국민병으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이었으나 환경개선과 치료 약의 개발 등으로 격감했다. 그러나 1977년에는 환자 수 및 이환율 모두 전년을 상회하는 상황에 이르렀고, 현재 우리나라의 결핵 유병률은 약 1.5%로 선진국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감염경로는 환자의 가래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코나 입으로 들어가 폐로 침입하는 비말감염이 대부분이다. 폐결핵은 발병 양식에 따라 원발성 폐결핵(일차감염)과 속발성 폐결핵(이차감염)으로 분류한다. 원발성(일차) 폐결핵 primary tuberculo.. 2024. 2. 5. 결핵(Tuberculosis)환자 간호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 1) 병태 생리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TB)은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높은 질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세균이다. 병원체는 공기를 통해 전염된다. 활동성 결핵이 있는 사람이 기침, 웃음, 재채기, 휘파람, 노래를 할 때 작은 입자들이 공기 중에 떠다니게 되고, 다른 사람이 이를 흡입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은 활동성 결핵을 일으키기보다는 결핵균에 감염이 된다. 결핵균은 민감한 부위에 도달하면 자유롭고 번식하고 삼출성 반응이 일어나면 폐렴을 초래한다. 획득 면역이 생기면서 결핵균의 초기 병소에서 결핵균 번식이 통제된다. 이 병소는 보통 용해되고 잔여 결핵균은 거의 없어지거.. 2024. 1.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