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액량
분만 후 혈액량의 변화는 몇 가지 요소, 예를 들면 분만 중 혈액 손실, 생리적 부종과 같은 혈관의 수분 이동과 지속적인 배설 등에 달려 있다. 임신으로 인한 혈액량 증가(hypervolemia, 만삭 시 임신 전보다 최소 35% 이상의 혈액량 증가로)로 대부분의 산부가 분만 중 상당량의 혈액을 손실해도 잘 감당하게 된다. 혈액 손실은 즉시 일어나지만, 전체 혈액량 감소는 한정되어 있다. 임신 중 증가한 혈액량(1,000~1,500mL)의 대부분은 산후 첫 2주 이내에 제거되고, 산후 6개월에야 비임신 수치로 돌아온다. (Simpson & Creehan, 2001).
대부분의 산부는 단태아를 질식분만 할 경우 약 300~500mL(혈액량의 10%) 정도의 혈액을 상실하고, 제왕절개의 경우는 500~1,000mL(혈액량의 15~30%)의 혈액을 상실한다(Resnik, 2004). 분만 후 첫 며칠간 이뇨의 결과로 혈장량이 더 감소한다.
산욕기 초기 혈액 손실에 대한 산모의 반응은 비임신 여성과 다르다. 분만 후, 과도한 혈액 손실로부터 산모를 보호하는 3가지 생리학적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자궁 태반순환의 중단으로 산모의 혈관 상(vascular bed) 크기가 10~15% 감소한다.
(2) 태반의 내분비 기능 상실로 혈관 확장 자극이 사라진다.
(3) 임신 중 저장된 혈관 외 액이 혈액량을 증가시킨다. 분만 3일 이내에 혈장량은 혈관의 체액이 혈관 내로 이동하면서 보충된다.
- 심박출량
임신 동안 맥박, 1회 박출량(stroke volume), 그리고 심박출량(cardiac output)이 증가한다. 심박출량은 증가한 혈액량 때문에 최소한 분만 후 첫 48시간 동안 증가한 채 남아 있다. 증가한 박출량은 자궁 순환 감소와 혈관 외 액의 혈관 내 이동으로 인해 혈액이 모체 순환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심박출량은 출산 후 2주 이내에 30% 정도 감소하고 대부분 6~12주 이내에 비임신 수준으로 감소한다.
일부 산모는 1회 박출량, 심박출량과 전신혈관저항이 비임신 시보다 높게 유지된다.
- 활력징후
정상 산모에서는 활력징후가 거의 변화가 없다. 심박률과 혈압은 며칠 내에 비임신 수준으로 돌아온다. 호흡 기능은 출산 후 비임신 상태로 빠르게 회복된다. 자궁이 비워진 후에 횡격막은 하강하고, 심장축이 정상 위치로 Point of maximum impulse)과 심전도(ECG)가 정상이 된다.
- 혈액 성분
- 헤마토크릿과 혈색소
분만 후 총혈액이 분만 전에 비해 약 16% 정도 감소하면서 이행성 빈혈을 야기한다. 그러나 산후 8주경 적혈구가 증가하고 대부분 산모의 혈색소 수치가 정상이다.
- 백혈구 수
임신 중 정상적인 백혈구 수는 약 12,000/㎣이지만 출산 후 10~12일에 보통 백혈구 수는 20,000~25,000/㎣다. 이중 호중구(neutrophils)가 가장 많다. 정상적으로 적혈구 침강 속도가 빨라지고 백혈구 수가 증가해 있으므로, 이 시기에 급성 감염의 진단을 모호하게 할 수 있다.
- 응고인자
임신 중 정상적으로 증가한 응고인자와 섬유 소원 수치는 분만 직후에도 그대로 상승해 있다. 이러한 과응고 상태가 분만 중에 발생하는 혈관 손상과 회복기 동안 산모의 부동 상태가 결합하면, 혈전색전증의 위험은 증가한다. 특히 제왕절개 분만 후에 더 위험하다. 섬유소 용해 활동 역시 산후 첫 며칠간 증가한다. 응고인자 1, 2, 4, 5 그리고 10의 수준도 며칠 내에 비임신 상태로 감소한다. 또한 태반부착 부위에서 방출되는 섬유소 분해물질이 산모 혈액 중에서도 발견된다.
- 정맥류
다리의 정맥류(varicosities, varices)와 항문 주위의 정맥류(치질, hemorrhoids)가 임신 동안 흔하게 나타난다. 모든 정맥류, 덜 흔하게 발생하는 음순 정맥류도 출산 직후 빠르게 퇴화 한다. 임신 중에는 정맥류에 대한 외과적 시술을 고려하지 않는다. 정맥류는 산후 완전히 혹은 거의 완전하게 회복된다.
'간호학 > 모성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의 생리적/행동적 적응 (0) | 2024.01.09 |
---|---|
출산 후 변화7(기타신체 변화, 총 요약) (1) | 2024.01.09 |
출산 후 변화5(위장계, 유방) (1) | 2024.01.08 |
출산 후 변화4(복부, 비뇨기계) (1) | 2024.01.08 |
출산 후 자궁 및 호르몬의 변화3 (1)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