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사정- 혈역학 검사, MRI, EBCT
자기공명영상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은 비침습적 진단 과정이다. 심장이나 큰 혈관들의 영상이 자기장, 전자파, 수소 밀도를 나타내는 원자핵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만들어진다. 간단히 말하면 전자파는 신체조직을 반사하는 검사이다. 각 조직은 각자 고유의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영상이 여러 가지 조직의 차이를 명확히 나타낸다.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심장벽의 두께, 심장 방실이 확장, 판막과 심실 기능, 대혈관에서 혈류의 움직임 등을 진단할 수 있다. MRI 검사는 강한 자기장 하에서 시행되므로 검사 전에 환자로부터 시계, 보석, 금속성 잠금장치가 있는 옷, 머리핀 등을 포함하여 모든 금속성 물건을 제거한다. 인공 심박동기 또는 세동제거기를 장치하고 있..
2024. 1. 31.